말레이시아에서 전염력 10배 센 변종 코로나 발생 <br />스파이크 부위 변이 발생…치료제 무력화 가능 <br />2개 항체(칵테일)로 돌연변이 바이러스 공략 <br />美 제네론 임상 3상 돌입…국내 기업 개발 중 <br />백신, 돌연변이에 따라 각각 개발해야 효과 <br />독감처럼 여러 백신 함께 처방하는 전략 필요<br /><br />최근 말레이시아에서 전염력이 10배나 강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생하면서 전 세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변이 부위에 따라 개발 중인 치료제와 백신을 무력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인체 세포에 들어옵니다. <br /> <br />현재 개발 중인 항체 치료제 대부분은 스파이크 단백질을 꽁꽁 묶어 바이러스의 인체 침입을 막는 원리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만약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발생하면 치료제가 제대로 된 효과를 낼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위험에 대비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제와 백신을 만들고 있는데 2개 이상의 항체를 함께 쓰는, 이른바 '칵테일 항체'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칵테일 항체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핵심 부위 2곳을 각각 공략하는 항체 2개를 이용합니다. <br /> <br />스파이크 단백질 1곳에서 변이가 발생해도, 변이가 일어나지 않은 나머지 1곳을 공략해 바이러스의 인체 침입을 막는 원리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바이오 기업 리제네론은 칵테일 항체로 임상 3상에 돌입했고, 국내에서도 관련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. <br /> <br />[박영우 / 와이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: 저희가 현재 확보한 300개 중화항체 중에서 가장 우수한 2개가 확보됐고요. 올해 안에 확보된 2개로 동물 효능, 안전성 평가를 마치고, 내년 초에 임상에 진입할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백신의 경우엔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따로 백신을 만들어야 제대로 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독감백신은 독감 바이러스 변이 3종에 대비한 3가지 종류의 백신을 한꺼번에 접종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장기적으로 코로나19도 독감 백신처럼 3~4가지 백신을 개발하고 함께 처방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이성규 <br />영상편집 : 황유민 <br />자막뉴스 : 육지혜 <br /> <br />#코로나19 #돌연변이 #칵테일항체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0081909403347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